반응형 전체 글27 저작권 공공누리 상업적 이용과 변경금지_공유 공공누리에는 1유형부터 4유형이 있다. 그 중 제일 허용기준이 까다로운 4유형은 출처표시도 해야하고 상업용으로 금지, 변경금지 3가지를 금하고 있다. 저작물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을 말합니다(「저작권법」 제2조 제1호). 저작물을 만들었다고 해서 모두 저작권법으로 보호되는 것은 아니며 저작물에는 창작성이 요구됩니다. 창작성은 남의 것을 베끼지 않고 작가 자신의 독자적인 사상 또는 감정의 표현을 담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높은 수준의 창작성이 요구되는 것은 아닙니다(문화체육관광부(http://www.mcst.go.kr) - 주요정책].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는 저작물(「저작권법」 제4조 제1항, 제5조제1항, 제6조제1항 및 문화체육관광부(http://mcst.go.kr)-주요.. 2022. 11. 26. 이차함수가 돈과 관련이 있다? 3학년 1학기의 끝단원은 바로 이차함수와 이차함수의 활용 단원이다. 이차함수는 고등학교에서 배울 삼차 함수, 4차 함수의 기초가 된다. 그렇기에 이차함수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목차에서 보듯 우리는 곱셈공식, 인수분해를 거쳐 이차방정식을 풀고 이차함수에 이른다. 이 단원은 길게 1학기에 걸쳐 배우지만, 사실 별거 없다. 이차함수는 대응 표로 함수 식을 만들어 내고, 함수 식을 보고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차함수는 왜 배우는가? 학생들에게 도전적인 질문을 받는다. 대부분 넓이에 의한 계산으로 많이 계산문제가 나온다. 넓이 구하는 것이 뭐 그리 쓸모가 있겠는가? 있다. 면적을 구하는 것은 곧 '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옛날 사람들은 땅에 관심이 많았다. 효율적으로 면적을.. 2022. 10. 24. 여러 가지 수학적 증명 방법 수학적 증명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연역, 귀납 등 증명에 쓰이는 용어의 뜻을 먼저 알아야 한다.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으로 증명을 해왔지만, 본격적으로 이것의 이름을 붙이고 사용하는 것이 중고등학교이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 때부터 해왔던 수학 공부는 모두 이것을 포함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누구도 깨닫지 못한다. 증명을 위해 알아두어야 할 여러 가지 수학 용어들 명제는 참 또는 거짓이 명확히 구분되는 문장 혹은 수식이다. 1) 삼각형에는 세 개의 변이 있고 세 개의 꼭짓점이 있다. 2) 사람은 꽃보다 아름답다. 3)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축물은 숭례문이다. 4) 1 + 8 = 10 이다. 이런 문장들에서 바로 참과 거짓을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은 첫 번째와 네 번째이다. 이는.. 2022. 9. 27. 아라비아 숫자와 획기적인 표현 영(0) 우리가 쓰고 있는 아라비아 숫자는 정말 아라비아 사람들이 만들었을까? 왜 아라비아 숫자라고 명명되었을까? 그 이전에 사람들이 숫자를 표기를 어떻게 했을까? 이런 궁금증이 일어날 때가 있다. 하지만 사실 지금 쓰고 있는 숫자는 아라비아 사람들이 만들지 않았다. 수학을 배우면 가장 먼저 배우는 아라비아 숫자는 어떻게 생겼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또한 0은 그 표기만으로 엄청난 생각의 폭을 넓혀 주었다. 지금은 편히 쓰고 있는 0을 찾아본다. 여러 문명에서 만든 숫자 지금 쓰고 있는 숫자는 인도에서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모든 문자는 상징이다. 상징이 들어가는 만큼 사람들의 생각도 그 문자에 함께 들어가 있기 마련이다. 인도 사람들은 현생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죽으면 다음 생이 이어진다고 생각했다. 현재 겉.. 2022. 9. 26.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